통합 검색
통합 검색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전기설비 실무자를 위한 KEC 기준 접지 측정 및 보호도체 설치 가이드
예전 전기설비기술기준 시절을 기억하시나요? "접지저항 10Ω 이하" 같은 단순한 수치만 확인하면 되던 시절 말입니다.
하지만 **KEC(한국전기설비기준)**로 넘어오면서 접지의 개념이 완전히 바뀌었습니다. 이제는 단순한 저항값이 아닌 계통방식별 감전보호 조건을 만족하는지가 핵심입니다.
❌ 구방식: 접지저항 < 10Ω 이면 OK
✅ KEC: 계통별 ADS/RCD 조건 만족 여부가 기준
계통방식측정대상측정방법판정기준보호장치
TT계통 | 접지저항 RA | 접지저항계(3전극법) | RA × IΔn ≤ 50V | RCD 필수 |
TN계통 | 루프임피던스 Zs | 루프테스터 | Zs ≤ U0 / Ia | 차단기 |
IT계통 | 절연저항 | 절연저항계 | 절연저항 ≥ 규정치 | 절연감시장치 |
30mA RCD 사용 시:
100mA RCD 사용 시:
230V, 500A 차단기 사용 시:
✅ 녹/황색 단독 사용 ❌ 다른 색과 혼용 금지 ❌ 녹색만, 황색만 사용 금지
상도체 단면적(S)PE 최소 단면적
S ≤ 16mm² | S와 동일 |
16 < S ≤ 35mm² | 16mm² |
S > 35mm² | S/2 |
> 상도체(차단기 전선 굵기)가 16sq이거나 이하일때는 상도체와 똑같이 쓴다.
상도체가 2.5sq이면 접지선도 2.5sq, 16sq이면 접지선도 16sq 입니다.
16sq보다 크고 35sq보다 작거나 같으면, 접지는 다 16sq를 씁니다.
35sq보다 크면, 반으로 나눠서 그 윗단계 전선을 씁니다.
예로 35sq를 반으로 나누면 17.5인데 17.5sq 전선은 없으니
25sq접지선을 쓰면 됩니다.
SPE = (I × √t) / k
I: 예상 고장전류(A)
t: 차단시간(s)
k: 재질계수 (구리 115, 알루미늄 76)
1. 계통 구분 없이 동일한 기준 적용
2. PE 색상 불일치
3. 루프임피던스 측정 시 보호도체 분리
4. 계절 변화 미고려
KEC에서의 접지는 더 이상 단순한 저항값 게임이 아닙니다.
계통방식별 감전보호 조건을 만족하는지가 핵심이며, 이를 위해:
"접지는 전기안전의 마지막 보루입니다. KEC 기준에 맞는 정확한 시공과 측정으로 안전한 전기설비를 만들어 갑시다."
댓글 0